Home > Research > Research.
RESEARCH
- 연구의 목표
- 본 연구는 생산단계, 시공단계, 운영단계, 해체단계로 구성되는 건축물의 전과정 단계에서 발생 될 수 있는 잠재적인 환경부하를 정량적이고 표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정책 및 기술 개발 연구로서 건축물 LCA를 위한 평가 범위와 절차, 평가 방법 등을 표준화하기 위한 건축물의 LCA 지침 개발, 건축물의 LCA를 용이하게 수행하고 건축관련 주체들의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건축물 LCA 기술 개발, 건축자재 및 에너지원 등의 LCI DB 구축을 통해 건축물 LCA 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건축물 LCA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 연구의 필요성
- 최근 지속가능한 개발을 실현하기 위한 전략적인 방안의 일환으로 건축물에서의 환경부하 저감이 국제사회의 경쟁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는 건축물의 건설시점에서 방대한 양의 건축자재가 투입되며 운영단계에서 막대한 양의 에너지원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축물의 생산단계부터 해체단계까지의 환경부하를 통합적으로 평가하는 건축물의 전과정 평가(LCA)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건축물은 일반 제품과 비교하여 수명이 매우 길고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됨에 따라 건축물에 특화된 LCA 방법론이 반드시 필요하며, 건축관련 주체들이 환경부하를 저감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건축물의 LCA 기술이 개발 되어야 한다.
- 건축물 전과정 평가 (LCA : Life Cycle Assessment)
- 건축물 전과정 평가(LCA)는 건축물의 전과정 단계인 생산단계, 시공단계, 운영단계, 해체단계 동안에 투입되는 자원 및 에너지와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정량적으로 목록화하고 이들이 환경에 미치는 잠재적인 악영향을 체계적으로 예측, 규명, 평가하는 도구이다. 따라서 환경부하의 저감 방안과 개선점을 도출하여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개발과 생태계의 균형을 도모하기 위한 정량적 판단근거를 제공한다.
- 연구영역
- 건축물 LCA 기술 개발 연구의 주요 연구내용은 건축물의 LCA 방법을 객관적으로 표준화하기 위한 건축물 LCA 지침 개발, 건축물의 용이한 LCA를 지원하고 잠재적인 환경부하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건축물 LCA 기술 개발, 건축물의 LCA 기술을 지원하는 건축물 LCA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로 구성된다.
-
- 건축물 LCA 지침 개발
- 건축물 LCA 지침 개발 연구는 정량적인 건축물의 LCA를 위해 건축물 LCA의 범위 및 절차, 평가 방법 등을 표준화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환경성능 평가와 관련된 국제 표준규격(ISO)과 국내의 표준규격(KS), 국내외 건축물 환경성능 평가지침의 조사 및 분석을 통해 보다 객관적인 건축물 LCA 방법을 정립하며, 현재 국내외적으로 부재한 건축물의 LCA 지침 및 표준 규격을 개발하고 제안하는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 건축물 LCA 기술 개발
- 건축물 LCA 기술 개발 연구는 건축관련 주체들로 하여금 용이한 건축물의 LCA 수행 및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개발 연구이다. 본 연구는 건축물 LCA 프로그램의 기획 및 개발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에 핵심기술로 적용되는 요소기술 개발 연구가 포함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주요 건축자재 기반의 건축물 LCA 기술, Web 기반 건축물 LCA 기술, 건축자재 물량 자동입력 기술, 대안평가 기술, 탄소성적표지인증 원단위 활용 기술 등이 개발되었고 최근에는 BIM과 접목한 건축물의 LCA 기술 개발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 건축물 LCA 데이터베이스 구축
- 건축물 LCA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는 건축물 LCA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자재 및 에너지원 등에 따른 탄소배출계수, 국내외 LCI DB 등을 분석하는 환경부하 원단위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와 건축물의 용도, 규모, 지역에 따라 환경부하의 베이스라인을 설정하는 베이스라인 구축 연구, BIM과 연계한 건축물의 LCA 기술을 지원하는 BIM 라이브러리 구축 연구 등을 수행한다.
-

- 건축물 LCA 지침 예시
(건축물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지침안)
- 건축자재 내재 온실가스 평가 프로그램
(SUSB-BEGAS)

- 건축물 LCA 기술 예시(BEGAS)

- 건축물 LCA 데이터베이스 예시
(공동주택의 탄소배출량 베이스라인 분석)
- 건축물 LCA관련 프로그램
-

- SUSB-LCA /한양대 친환경건축연구센터 공동 연구성과

- LOCAS / 한양대 친환경건축연구센터,
롯데건설 공동 연구성과

- Carbon Expert / 한양대 친환경건축연구센터,
GS건설 공동 연구성과

- BEGAS 2.0 / 한양대 친환경건축연구센터 연구성과
- 연구 성과
- 논문
- SungHo Tae, SungWoo Shin, JeeHwan Woo, SeungJun Roh : The Development of Apartment House Life Cycle CO2 Simple Assessment System Using Standard Apartment Houses of South Korea, Renewable & Sustainable Energy Reviews 2011 Vol. 15 No.3 pp.1454-1467
- KangHee Lee, SungHo Tae, SungWoo Shin : Development of a Life Cycle Assessment Program for Building (SUSB-LCA) in South Korea Renewable & Sustainable Energy Reviews 2009, Vol. 13, Issue 8, pp.1994-2002
- SungHo Tae, SungWoo Shin : Current Work and Future Trends for Sustainable Buildings in South Korea, Renewable & Sustainable Energy Reviews 2009, Vol.13, pp.1910-1921
- 노승준, 태성호, 김태형, 김낙현 : 건축물 전과정 평가를 위한 주요 건축자재의 환경영향 특성화값 비교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2013, 제29권 제7호, pp.93-100
- 방준식, 태성호, 김태형, 노승준 : 건축물 CO2 평가의 효율성 향상을 위한 조달청 표준공사코드 기반 BIM 템플릿 구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2013, 제29권 제4호, pp. 69-76
- 노승준, 태성호, 백정훈, 신성우, 이주호, 이준서, 안장호 : 목적지향형 건축물 전과정 CO2 평가 프로그램(LOCAS) 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2012, 제28권 제1호, pp.101-108
- 지적재산권
- 주요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전과정 환경영향 평가방법 (특허등록, 제10-1390237호)
- System for Assessing an Environmental Load of Building during Life Cycle (미국특허등록US 8,645,183 B2)
- 목적지향형 건축물 전생애 환경부하 평가시스템 (특허등록, 제10-1106220호)
- 친환경 건축물 전생애 환경부하 평가 방법 (특허등록, 제10-0934979호)
- 건축물 전과정 탄소배출량 평가 프로그램 (BEGAS 2.0) (프로그램등록, 진행 중)
- 건축물 내재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프로그램 (프로그램등록, 제C-2014-012358호)
- 국토해양부 건축물 전과정 온실가스 평가·관리 프로그램 (프로그램등록, 제C-2012-014598호)
- 건축물 전과정 CO2 평가 프로그램 (Carbon Expert) (프로그램등록, 제2011-01-121-011923)
- 목적지향형 건축물 전 생애 CO2 평가 프로그램 (LOCAS) (프로그램등록, 제2011-01-121-003762호)
- 친환경건축물 전생애 환경부하 평가 프로그램 (프로그램등록, 제2007-01-123-004218호)